김지선
김지선은 비닐, 플라스틱 백, 그물망, 거품, 식용 곤충 분말 등 독특한 소재들을 활용해 가구와 소품 작업을 한다. 특히 겹겹이 쌓인 비닐들이 열에 의해 만들어 내는 ‘핫 프레스 포밍’ 기법의 자연스러운 텍스처는 인공 소재에 생명을 불어넣어 얻은 결과물이나 다름없다. 옷을 제작하는 방식에서 영감받은 작가는 2D의 평면 비닐 조각들로 건축적 미학을 가진 입체 조형물을 구현한다. 강하고 단단하며 독특한 질감의 작업에서는, 특히 다듬어지지 않은 날 것의 감성이 돋보인다. 작가는 세계적으로 대두되는 환경문제에 대한 고민을 시작으로 버려지는 비닐, 플라스틱 백 소재에 집중하게 되었다. 기존의 리사이클링 아트는 버려진 플라스틱을 녹여 만드는 작업이 대부분이라 컬러감이나 형태 등 비슷한 결과물에 아쉬움을 느꼈고, 소재 연구를 통해 고유한 작업 방식을 고안하게 되었다. 섬세하고 감각적인 질감은 차분한 감성을 자아내지만, 고요한 색감과 여유로운 선이 만나 오히려 시각적, 촉각적 흥미를 선사한다. 우리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평범한 소재로 특별한 미학을 연출하는 작업을 통해 수공예적인 예술과 지속가능성의 메세지를 전달하고 있다.
Jisun Kim
Jisun Kim employs unconventional materials such as vinyl, plastic bags, foam, mesh, and edible insect powder to create furniture and objects. Using the hot press forming technique, where the heat generated from the layers of vinyl creates a natural texture, Kim breathes life into synthetic materials. Drawing inspiration from clothing production, she transforms two-dimensional vinyl pieces into three-dimensional sculptures with an architectural aesthetic. Her unique, robust pieces showcase a raw and unpolished sensibility with their distinctive textures. Taking an interest in global environmental issues, Kim began working with discarded vinyl and plastic bags. The artist was dissatisfied with traditional recycling art, which often involves melting discarded plastic and results in uniformity in color and shape. She experimented with various materials and techniques to develop her unique crafting method. The subtle and delicate textures of her pieces exude a calm sensibility, while the muted hues and relaxed lines enhance their visual and tactile appeal. By creating unique beauty with ordinary, ubiquitous materials, Kim highlights the essence of handicraft and sustainability.




김지선 (1988-)
숙명여자대학교 환경디자인전공 학사학위를, 영국 킹스턴예술대학 제품 및 가구디자인전공 석사 학위를 취득하였다. 2021년 ‹ObjectxProject›(데어바타테, 서울), 2021년 ‹2021 리빙디자인페어 : VISIONARY›(코엑스, 서울), 2021년 ‹DDP Design Fair›(DDP, 서울), 2022년 ‹키클로스 Kyklos›(이솝 삼청점, 서울), 2022년 ‹be:cycle project ‘Under the sea’›(무신사, 서울), 2021년 ‹공예트렌드페어 국립국악원 K-Maestro 프로젝트-’산조’›(코엑스, 서울), 2022년‹Material Collective›(DDP, 서울), 2022년 ‹Repair : Re+pair›(아모레성수, 서울), 2022년 ‹밀라노디자인위크–다시 땅의 기초로부터›(펠트리넬리재단, 이탈리아), 2022년 ‹Maison&Objet-서재 : 문방사우›(프랑스), 2022년 ‹Spectrum of Seating›(DDP, 서울), 2022년 ‹The Wave : 순환의 물결›(삼성전자 대치점, 서울), 2022년 ‹2022 공예트렌드페어›(코엑스, 서울) 등 다수의 국내외 전시에 참여하였다. 이 밖에도 2020년 LEXUS CREATIVE MASTERS AWARD를 수상하였으며, 한국의 써밋갤러리에 소장되어 있다.
Jisun Kim (1988-)
숙명여자대학교 환경디자인전공 학사학위를, 영국 킹스턴예술대학 제품 및 가구디자인전공 석사 학위를 취득하였다. 2021년 ‹ObjectxProject›(데어바타테, 서울), 2021년 ‹2021 리빙디자인페어 : VISIONARY›(코엑스, 서울), 2021년 ‹DDP Design Fair›(DDP, 서울), 2022년 ‹키클로스 Kyklos›(이솝 삼청점, 서울), 2022년 ‹be:cycle project ‘Under the sea’›(무신사, 서울), 2021년 ‹공예트렌드페어 국립국악원 K-Maestro 프로젝트-’산조’›(코엑스, 서울), 2022년‹Material Collective›(DDP, 서울), 2022년 ‹Repair : Re+pair›(아모레성수, 서울), 2022년 ‹밀라노디자인위크–다시 땅의 기초로부터›(펠트리넬리재단, 이탈리아), 2022년 ‹Maison&Objet-서재 : 문방사우›(프랑스), 2022년 ‹Spectrum of Seating›(DDP, 서울), 2022년 ‹The Wave : 순환의 물결›(삼성전자 대치점, 서울), 2022년 ‹2022 공예트렌드페어›(코엑스, 서울) 등 다수의 국내외 전시에 참여하였다. 이 밖에도 2020년 LEXUS CREATIVE MASTERS AWARD를 수상하였으며, 한국의 써밋갤러리에 소장되어 있다.
Jisun Kim (1988-)
Jisun Kim received her B.F.A. in Environmental Design from Sookmyung Women’s University and her M.F.A. in Product & Furniture Design from Kingston University. She has participated in numerous group exhibitions, including object x project at der Batate, Seoul (2021); Seoul Living Design Fair: VISIONARY at COEX, Seoul (2021); DDP Design Fair, Seoul (2021); Kyklos at Aesop Samcheong, Seoul (2022); be: cycle project: Under the Sea at Musinsa Standard, Seoul (2022); Craft Trend Fair x National Gugak Center: K-Maestro at COEX, Seoul (2021); Material Collective at DDP, Seoul (2022); Repair:Re+pair at Amore Seongsu, Seoul (2022); Milan Design Week: Again, From The Earth's Foundation at Fondazione Giangiacomo Feltrinelli, Milan, Italy (2022); Maison&Objet: Four Treasures of the Study, France (2022); Spectrum of Seating, DDP, Seoul (2022); The Wave at Samsung Electronics Daechi, Seoul (2022); and Craft Trend Fair at COEX, Seoul (20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