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 밀라노 한국공예전
사유의 두께
파트 1    변덕스러운 두께
파트 2    소박 素朴
파트 3    공존의 마당 

Korean Craft Show In Milan 2024
Thoughts on Thickness

Part 1    In Variation, In Thickness
Part 2    SOBAK
Part 3    MADANG

기간
2024년 4월 14일(일)–4월 21일(일)

장소
로산나올란디 갤러리&

시간
9:30–20:00
4월 17일(수) 9:30 – 18:00

Press Day
2024년 4월 14일(일)
9:30–12:00

개막식
2024년 4월 15일(월)
17:00–20:00


참여작가 및 브랜드

파트1
고희숙
김민욱
김용경
나점수
박강용
신혜정
신혜진
유남권
이세경
이지용
허명욱

파트2
강영준
고연산방
길성요
나점수
서신정
오마 스페이스
유남권
이창원
임서윤
조장현
허유정
홍성일
홍우경

파트3
아키모스피어(협찬 프라그멘티) 

프로그램
산수화 티하우스

예술감독
최주연

주최
문화체육관광부

주관
(재)한국공예디자인문화진흥원
Period
April 14th, 2024 (Sunday) – April 21st, 2024 (Sunday)

Venue
Galleria Rossana Orlandi, Milan 

Hours
9:30–20:00
17 April, 2024. 9:30 – 18:00

Press Day
14 April 2024.
9:30–12:00

Opening Reception
15 April, 2024.
17:00 – 20:00
Participating Artists & Brands

Part1
Heesook Ko
Minwook Kim
Yongkyoung Kim
Jeomsoo Na
Gangyong Park
Hyejung Shin
Hyejin Shin
Namgwon Lyu
Sekyung Lee
Jiyong Lee
Myoungwook Huh

Part2
Youngjun Kang
Goyeonsanbang
Gilsungyo
Sinjeong Seo
OMA Space
Namgwon Lyu
Changwon Lee
Seoyoon Rim
Janghyun Cho
Yujung Huh
Seongil Hong
Wookyung Hong

Part3
Archimosphere (Supported by Fragmenti)

Program
Sansuhwa Teahouse

Artistic Director
Jooyeon Choi

Host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Organizer
Korea Craft & Design Foundation

전시개요

Introduction

사유하는 존재로서의 사물
현대 공예는 미술, 디자인 영역과 경계를 흐리며 장르를 자유롭게 횡단하는 새로운 문화 지형도를 만들고 있다. 아울러 경계 사이에 수많은 주름을 새기면서 새로운 장르의 탄생과 미래에 대한 질문을 유발한다. 한국 공예는 타 장르를 순환하면서 재료에 대한 철학적, 인문학적 고찰로 정체성을 재구성해 새로운 문화를 향해 진화하는 중이다. 이렇게 다양한 층위의 사고를 거듭한 한국 공예는 ‘쓰임을 위한 생존의 수단’에서 ‘사유하는 존재의 사물’로서 유의미한 예술로 거듭나고 있다. 전시 파트 1. 《변덕스러운 두께》(In Variation, In Thickness)에서는 한국 예술가들의 사유의 깊이를 들여다 보았고, 파트 2. 《소박 素朴》(SOBAK)에서는 한국의 정서를 대표하는 소박함의 절대 미감을 차의 시간으로 담아내며, 파트 3. 《공존의 마당》(MADANG)에서 한국 전반의 예술에 대한 담론을 펼치는 소통의 장을 만든다.
Objects of Contemplative Existence
Contemporary crafts blur the boundaries between art and design, creating a new cultural landscape that freely traverses genres. Moreover, numerous wrinkles are carved between these boundaries to provoke questions about the birth of new genres and the future. Korean crafts, circulating through other genres, are in the process of reconstructing their identity through philosophical and humanistic reflections on materials, evolving towards a new culture. Through repeated layers of diverse meditations, Korean crafts have evolved from a means of survival for utility to meaningful art, as objects of contemplative existence. Part 1. “In Variation, In Thickness,” delves into the depth of contemplation by Korean artists, while Part 2, “SOBAK.” encapsulates aesthetics of simplicity in traditional Korean culture, alluding to the passage of time through tea. Part 3. "MADANG" is a place in which the discourses of Korean art unravel and interact.

공간 디자인

Spatial Design

파트 1. 변덕스러운 두께
한국 예술인들의 장르를 뛰어넘는 재료에 대한 고찰을 통한 사유의 깊이를 조명하며 다채로운 사유 세계와 깊이에 대해 들여다볼 수 있는 소통의 기회를 마련하고자 한다. 이번 전시는 자연을 대하는 태도(Attitude), 재료의 독창적인 개념(Curiosity), 존재에 대한 고찰(Humanity), 전통적 방법의 재해석(Way of Seeing) 네 개의 키워드를 중심으로 한국의 현대 공예를 관통하는 재료와 기법의 매력을 담았다. 전시에 참여한 작가들이 단순한 재료의 물리적 탐구를 통한 사물의 탄생을 넘어, 어떠한 사회적, 철학적 가치로 작업을 해나가고 있는지를 이해하고, 공감하는 기회가 되기를 바란다.
Part 1. In Variation, In Thickness
By illuminating Korean artists’ reflections on materials that transcend genres, we provide an opportunity to explore the realms of their contemplation and depth. This exhibition encapsulates the allure of materials and techniques in contemporary Korean crafts, centered around four keywords: Attitude, Curiosity, Humanity, and Way of Seeing. We hope to provide the opportunity to explore how participating artists go beyond the mere physical exploration of materials to work with social and philosophical values, to gain understanding and empathy
파트 2. 소박(素朴)
한국을 대표하는 삶의 태도이자 미학적 개념의 “소박 素朴, SOBAK”
한국 공예의 미는 피상적으로 아름다운 오브제를 넘어 그 안에 담긴 삶의 태도를 미학적 개념으로 이해할 때, 비로소 느낄 수 있다. 소(素)는 ‘원래 염색하지 않은 흰 실’을, 박(朴)은 ‘갓 벌채하여 아직 다듬지 않은 통나무’를 일컫는 것으로 인위적 기교가 더해지지 않은 자연스러운 본래의 모습을 뜻한다. 일상에서 ‘소박하다’의 의미는 사치스럽거나 과하지 않은 검소함을 말하지만, 미학적으로는 깊은 자연에 대한 사유의 관점을 담는다. 자연을 곁에 두고 수용의 관계를 맺는 한국의 미의식 속에는 자연과 인간, 그리고 사물의 본질을 탐구하되 비본질적인 것(장식적인 것)을 과감히 절제하는 용기를 내포한다.
Part 2. SOBAK
SOBAK(素朴) - A Representative Attitude Towards Life and Aesthetic Concept of Korea
The beauty of Korean crafts lies beyond the superficial beauty of objects. In understanding the attitude towards life embedded within them as an aesthetic concept, one may truly feel the unique beauty of Korea. “SO()” refers to the white thread that has not been dyed, while“BAK()” refers to an untrimmed log freshly cut from the forest, symbolizing the natural and unadorned original form without artificial manipulation. In daily life, “SOBAK(素朴)” implies modesty without extravagance or excessiveness, but aesthetically, it contains a perspective of contemplation towards deep nature. Within Korea's aesthetic consciousness, which embraces nature and establishes a receptive relationship with it, lies the courage to explore the essence of nature, humanity, and objects while boldly restraining non-essential (decorative) elements.
파트 3. 공존의 마당 “MADANG”
소통의 활기
“세계를 연결해 주는 찻자리”

한국의 찻자리는 화려한 도구나 지나친 예의 형식을 떠나 마주한 사물, 사람 자연을 중시하고 대화로 관계를 만들어가는 서정적 장소의 의미로 다가간다. 한옥의 구조에서 마당은 안과 밖을 연결하는 중요한 장소로 바람을 잘 통하게 하고 평소에는 비어있지만, 사람들이 모여 소통을 이룰 수 있는 구조를 이룬다. 이탈리아 작은 정원에서 한국의 마당이 가지는 의미를 담아내 이질적 문화가 조화로움으로 일체를 이루는 공존의 시간을 마련하고자 한다.
Part 1. In Variation, In Thickness
Vitality of Communication “A tea garden connecting the world”
In Korean tea culture, the tea gathering transcends extravagant tools or excessive formalities, embracing the significance of a lyrical space where relationships are formed through interactions with objects, people, and nature. In the structure of Hanok, a traditional Korean house, the courtyard serves as a vital space that connects the interior and exterior, allowing for ventilation and remaining mostly empty, yet forming a structure where people can gather and communicate. By capturing the symbolic meaning of a Korean yard in a small Italian garden, we hope to create a time of coexistence where different cultures unite in harmony.

전시 구성

Composition

파트 1. 변덕스러운 두께
한국 예술인들의 장르를 뛰어넘는 재료에 대한 고찰을 통한 사유의 깊이를 조명하며, 다채로운 사유 세계와 깊이에 대해 들여다볼 수 있는 소통의 기회를 마련하고자 한다.
Part 1. In Variation, In Thickness
By illuminating Korean artists’ reflections on materials that transcend genres, we provide an opportunity to explore the realms of their contemplation and depth.
1-1
자연을 대하는 태도
물질은 자연으로부터, 작가의 정체성은 물질에서 온다. 재료 그 자체에 영감을 받아 의인화하고, 감정을 담아내는 작가들의 이야기를 전한다.
Attitude_Attitude Towards Nature
Materials come from nature, and an artist's identity emanates from these materials. Artists convey their stories by personifying and imbuing emotions into materials that inspire.
나점수 Jeomsoo Na
김민욱 Minwook Kim
신혜정 Hyejung Shin
1-2
재료의 독창적 개념
재료에서 유추할 수 있는 무한한 상상력을 통해 기존의 관습적인 용도를 벗어나, 실험과 재인식을 통해 감각의 확장을 도모한다.
Curiosity_Innovative Concepts of Materials
Beyond conventional usage, exploring infinite imagination derived from materials, promoting sensory expansion through experimentation and re-evaluation.
김용경 Yongkyoung Kim
이지용 Jiyong Lee
1-3
존재에 대한 고찰
“1킬로그램의 돌과 1킬로그램의 금 중 어떤 것이 더 가치 있을까?” 작가에게 모든 재료는 소중하고 귀하다. 소외되고 버려진 재료들이 작가의 사유를 통해 새로운 존재로 거듭난다.
Humanity_Contemplation of Existence
“What is more valuable, a kilogram of stone or a kilogram of gold?” To artists, all materials are precious and valuable. Through the artist's contemplation, marginalized and discarded materials transform into new existences.
 
신혜진 Hyejin Shin
이세경 Sekyung Lee
허명욱 Myoungwook Huh
1-4
전통적 방법의 재해석
고정관념에서 벗어난 시선으로 물질의 고유성 비틀기가 지속적으로 이루어 지면서 예술과 문화는 진화하고, 새로운 생명선을 구축한다.
Way of Seeing_ Reinterpretation of Traditional Methods
As the uniqueness of matter continues to be warped through unconventional perspectives, art and culture evolve to establish new lifelines.
 
고희숙 Heesook Ko
박강용 Gangyong Park

2024 밀라노 한국공예전
사유의 두께

2024년 4월 15일-4월 21일
로사나 올란디 갤러리

주최
문화체육관광부

주관
(재)한국공예·디자인문화진흥원

예술감독
최주연

큐레이터
스페이스 비이
(김민서, 임득주, 최하영, 황은별)

전시디자인
윤현상재
참여 작가&브랜드

Part 1
고희숙 
김민욱
김용경
나점수
박강용
신혜정
신혜진
이세경
이지용
허명욱

Part 2
강영준
고연산방
길성요
나점수
서신정
오마 스페이스
유남권
이창원
임서윤
조장현
허유정
홍성일
홍우경

Part 3
아키모스피어
*협찬 프라그멘티
프로그램
산수화 티하우

총괄진행
(재)한국공예·디자인문화진흥원
공예본부장 최재일
공예문화팀 서윤경, 정서윤

종합운영대행
(주)유니원커뮤니케이션즈

현지 컨설턴트
고문정

협조
주밀라노 대한민국 총영사관

발행일
2024년 4월

발행인
장동광

발행처
(재)한국공예·디자인문화진흥원

사진
이정우
*21, 23, 28, 30, 35, 64, 68p 작가 제공

영상
이정우, 양우승

유니폼 디자인
스튜디오 오유경

작가 글 편집
육상수

그래픽 디자인
윤현상재
Korean Craft Show in Milan 2024
Thoughts on Thickness

April 14 - 21, 2024
Galleria Rossana Orlandi

Host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Organizer
Korea Craft & Design Foundation

Artistic Director
Jooyeon Choi

Curators
Space B-E
(Minseo Kim,  Duckjoo Lim Hayoung Choi, Eunbyeol Hwang) 

Space Design
YOUNHYUN
Participating Artists & Brands

Part 1
Heesook Ko
Minwook Kim
Yongkyoung Kim
Jeomsoo Na
Gangyong Park
Hyejung Shin
Hyejin Shin
Namgwon Lyu
Sekyung Lee
Jiyong Lee
Myoungwook Huh

Part 2
Youngjun Kang
Goyeonsanbang
Gilsungyo
Sinjeong Seo
OMA Space
Namgwon Lyu
Changwon Lee
Seoyoon Rim
Janghyun Cho
Yujung Huh
Seongil Hong
Wookyung Hong

Part 3
Archimosphere
*Supported by Fragmenti
Program
Sansuhwa teahouse 

Administration
Korea Craft & Design Foundation
Executive Director
    Jaeil Choi
Crafts Culture Team
    Craft bureau 
    Yunkyung Seo
    Seoyoon Jung

Exhibition Operation
Monica Moonjung Go

Project Consultant
Unione Communications

Partner
Consolato Generale della Repubblica di
Corea a Milano

Published Date
April, 2024

Publisher
Dongkwang Chang

Published by
Korea Craft & Design Foundation

Photography
Jeongwoo Lee
*21, 23, 28, 30, 35, 64, 68p

Provided by the Artists Video Jeongwoo Lee
Wooseung Yang

Uniform Design
STUDIO OHYUKYOUNG

Editor(Participating artists note) Sangsoo Youk

Graphic Design
YOUNHYUN

Download Press K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