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eing nameless, Wood, 145 x 190 x H480mm ⓒJeongwoo Lee

나점수

Jeomsoo Na


물질이 물체로 변모하여 정신에 인접하는 과정을 살피는 것이 조각적 사유다.
작가는 “물질을 바라보고 다가가는 것은 물질이 품고 지나온 시간에 다가가는 것”이라 한다. 그는 “물질은 인식 이전의 상태이고, 체(體)는 갖추어진 것이 인식되는 것이며, 물(物)이 심미적 형체(物體)가 되기 위해서는 형식의 틀을 넘어선 승화된 모습으로 변모해야 한다.”고 하며 아울러 “물질로부터 정신(精神)의 모습을 드러내기 위해서는 물질이 형태에 구속되는 것을 경계해야 하며, 인위적인 행위가 우연의 상태를 배제하는 것을 경계해야 한다.”고 한다. 그에게 있어 형체에 다가가는 중요한 태도가 있으니 “사물이 기능에 예속되면 용도성만이 드러나고, 가공된 인위적인 행위에 붙들리면 물성(物性)의 모습이 사라지게 되니 내 행위를 통해 다가가고자 하는 것이 있다면 승화된 ‘시심’이며, 그 시적 시선을 나는 ‘무명시’라 부른다.”라며 그에게 물질은 시심의 발로며 물체는 시심을 향한 통로로 보인다.

Examining the process whereby matter transforms into objects interacting with the mind is the basis for sculptural reasoning
The artist states that, “Observing and approaching materials is approaching the time it has borne.” He further elaborates that, “Material exists before perception, and the body() is what is recognized. For a material() progresses into form(物體), it must transcend its own framework into a sublimated appearance,” and “In order to reveal the spirit(精神) within a material, one must beware of material being bound by form, and of artificial acts excluding the state of chance.” For the artist, there is an important attitude in approaching forms, “When objects are bound by function, only utility is revealed, and when confined by processed artificial acts, the appearance of materiality(物性) disappears. Therefore, if there is something one wishes to approach through their actions, it becomes a sublimated ‘poetic essence,’ and hence named ‘Anonymous Poetry (Moomyungsi).’” To the artist, material serves as manifestation, and form as a pathway towards expression.
Being nameless, Wood, 145 x 190 x H480mm ⓒJeongwoo Lee
Being nameless, Wood, 200 x 180 x H160mm ⓒJeongwoo Lee